《햄릿(Hamlet)》은 윌리엄 셰익스피어(William Shakespeare)가 1599~1601년경에 집필한 5막 비극으로, 1603년 최초로 출판되었습니다. 이후 1604년 두 번째 쿼르토 판본이 등장했으며, 1623년 퍼스트 폴리오(First Folio)에 실린 버전은 작가의 원고를 바탕으로 보다 정리된 형태였습니다.
이 작품은 셰익스피어의 가장 뛰어난 희곡 중 하나로 평가받으며, 인간의 복수, 배신, 광기, 철학적 고뇌를 깊이 탐구하는 작품으로 시대를 초월한 공감을 불러일으킵니다.
《햄릿》의 배경과 원전
셰익스피어는 햄릿의 이야기를 여러 문헌에서 가져와 재구성했습니다.
⑴ 12세기 덴마크의 역사서인 《게스타 다노룸》 (작가 : 삭소 그라마티쿠스)
⑵ 1570년 프랑스 작가 프랑수아 드 벨포레가 이를 번역하고 확장한 《비극 이야기》
⑶ 16세기 후반, 잃어버린 희곡으로 알려진 《우르 햄릿》 (추정 작가 : 토마스 키드)
즉, 햄릿의 이야기는 덴마크 전설에서 유래한 것으로, 셰익스피어가 이를 강렬한 대사와 복잡한 심리 표현으로 재탄생시킨 것입니다.
왕의 죽음과 유령의 등장
덴마크의 왕이 갑작스럽게 죽고, 왕의 동생 클라우디우스가 왕위를 차지합니다. 햄릿의 어머니 거트루드는 남편이 죽은 지 한 달 만에 클라우디우스와 재혼합니다.
이 상황을 의심하던 왕자 햄릿은 어느 날, 돌아가신 아버지의 유령을 만나게 됩니다. 유령은 자신이 클라우디우스에게 독살당했다고 밝히며 복수를 요청합니다.
햄릿은 즉각 복수를 결심하지만, 신중한 성격 탓에 증거를 먼저 확보하기로 합니다. 또한, 미친 척하는 전략을 사용하여 주변 사람들을 속이려 합니다.
햄릿의 혼란과 갈등
햄릿의 가장 친한 친구 호레이쇼와 많은 사람들이 그가 이상해졌음을 느낍니다. 왕은 햄릿을 감시하기 위해 그의 옛 친구들인 로젠크란츠와 길덴스턴을 이용합니다.
한편, 늙은 신하 폴로니우스는 햄릿이 자신의 딸 오필리아를 사랑하지만, 거절당해 미쳐간다고 착각합니다. 햄릿은 오필리아에게 냉담하게 행동하며, 어머니와 같은 배신적인 여성상으로 간주합니다.
증거를 찾기 위한 연극
햄릿은 "쥐덫"이라는 연극을 준비합니다. 이 연극은 햄릿의 아버지와 같은 방식으로 독살당하는 왕의 이야기를 담고 있으며, 클라우디우스의 반응을 보기 위한 함정입니다.
연극이 진행되는 동안 클라우디우스는 극도로 불안해하며 자리를 떠납니다. 이를 본 햄릿과 호레이쇼는 클라우디우스가 유죄임을 확신합니다.
폴로니우스의 죽음과 오필리아의 비극
햄릿은 어머니 거트루드를 심문하기 위해 그녀의 방을 찾아갑니다. 이때 커튼 뒤에서 누군가가 엿듣고 있음을 감지한 햄릿은 클라우디우스라고 생각하고 단숨에 칼을 찌릅니다. 그러나 그 사람은 클라우디우스가 아니라 폴로니우스였고, 햄릿은 실수로 그를 죽이고 맙니다.
폴로니우스의 죽음에 충격을 받은 오필리아는 정신을 잃고 결국 강물에 빠져 죽습니다.
클라우디우스는 햄릿이 위험하다고 판단하고, 그를 영국으로 유배 보내면서 영국 왕에게 햄릿을 처형하라는 비밀 명령을 내립니다. 하지만 햄릿은 이를 눈치채고 로젠크란츠와 길덴스턴을 대신 죽게 만듭니다.
복수의 결말과 파국
햄릿이 덴마크로 돌아오자, 폴로니우스의 아들 레이어티스가 아버지와 여동생의 복수를 결심합니다. 클라우디우스는 이를 이용하여 검술 대결을 제안하고, 레이어티스의 검 끝에 독을 발라 햄릿을 죽이려는 음모를 꾸밉니다.
결투 중 레이어티스는 햄릿을 찌르지만, 몸싸움 도중 칼이 바뀌어 레이어티스 자신도 독이 든 칼에 찔려 죽습니다.
한편, 거트루드는 햄릿을 죽이기 위해 준비된 독이 든 잔을 모르고 마시고 사망합니다.
마지막 순간, 햄릿은 클라우디우스를 칼로 찌르고 독이 든 술을 강제로 마시게 하여 복수를 완수합니다. 그러나 햄릿도 독이 퍼져 결국 죽기 직전, 친구 호레이쇼에게 왕국을 맡기고 숨을 거둡니다.
작품의 핵심 주제
⑴ 복수와 인간의 내면 갈등
햄릿은 아버지의 복수를 원하면서도 도덕적, 철학적 고민 때문에 즉시 실행하지 못합니다. 이 과정에서 그는 인간의 존재 이유와 삶과 죽음의 의미를 깊이 고민합니다.
⑵ 배신과 음모
햄릿은 어머니, 친구들, 연인, 심지어 자신의 판단력까지 의심하면서 외롭게 복수를 준비합니다. 작품 전반에는 배신과 음모, 그리고 신뢰의 붕괴가 가득합니다.
⑶ 삶과 죽음의 철학적 성찰
햄릿의 유명한 독백 "사느냐, 죽느냐(To be, or not to be)"는 인간이 죽음을 두려워하는 이유와 존재의 의미를 탐구하는 대표적인 대사입니다.
《햄릿》의 영향과 현대적 의미
《햄릿》은 셰익스피어 최고의 걸작들(로미오와 줄리엣, 리어왕, 맥베스, 오셀로, 햄릿) 중 하나로, 수많은 연극, 영화, 문학 작품에 영향을 끼쳤습니다.
√ 영화 🎬
- 1948년 로렌스 올리비에, 1996년 케네스 브래너의 명작 영화
√ 문학 📖
- 《햄릿》의 주제는 현대 소설, 심리학, 철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끊임없이 연구되고 있습니다.
오늘날에도 햄릿의 내면 갈등과 철학적 고민은 많은 사람들에게 공감을 불러일으키며, 시대를 초월한 인간 존재에 대한 탐구를 담고 있습니다.
'이것저것궁금해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동킥보드 등 원동기장치자전거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5.02.08 |
---|---|
경력단절여성, 다시 사회로 나아가는 길 (0) | 2025.02.08 |
셰익스피어의 불멸의 사랑 이야기, 《로미오와 줄리엣》 (0) | 2025.02.08 |
셰익스피어의 걸작 비극, 《리어왕》 (0) | 2025.02.08 |
NASA의 소행성 베누 샘플 귀환 미션 : OSIRIS-REx (0) | 2025.0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