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익하고 다양한 정보를 공유합니다

열린 우체통 toodauri@gmail.com 010-2637-6727 (문자전용)

이것저것궁금해요

셰익스피어의 걸작 비극, 《리어왕》

투더리짱 2025. 2. 8. 15:43
반응형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5막 비극 리어왕(King Lear)은 1605~1606년에 집필되었으며, 1608년 초판이 출간되었습니다. 초판은 셰익스피어가 수정하지 않은 원고를 기반으로 한 것으로 보이며, 1623년 퍼스트 폴리오(First Folio)에 수록된 버전은 일부 삭제와 수정이 이루어진 공연용 대본으로 여겨집니다.

 

√ 셰익스피어의 5대 비극

 

비극의 시작 : 아버지의 오판

 

고령의 리어 왕은 왕국을 세 딸에게 나누어 주기로 결정합니다. 그는 딸들의 사랑 고백에 따라 영토를 배분하는데, 형식적인 말로 아첨하는 장녀 고너릴차녀 리건에게 후한 몫을 주고, 진심 어린 사랑을 표현하되 허황된 말을 거부한 막내딸 코델리아는 왕의 분노를 사며 유산을 박탈당합니다.

 

그러나 재산을 받은 두 딸은 곧 본색을 드러냅니다. 그들은 리어 왕을 냉대하며 약속을 어기고, 결국 왕은 궁정에서 쫓겨납니다. 비탄과 배신에 빠진 리어 왕은 광기에 휩싸여 방황하게 되며, 그 곁에는 충직한 광대와 그를 변함없이 따르는 켄트 백작이 남습니다. 켄트 백작은 리어 왕을 변호했다가 추방당했지만, 변장한 채 왕을 돕고자 합니다.

 

코델리아의 구원과 비극적 결말

 

한편, 코델리아는 프랑스 왕과 혼인한 후 아버지를 구하기 위해 프랑스 군을 이끌고 영국을 침공합니다. 그녀는 마침내 리어 왕을 찾아 돌보고 그의 정신을 되찾게 합니다. 하지만 전쟁에서 패배한 코델리아와 리어 왕은 포로로 잡히고 맙니다.

 

서브플롯 : 글로스터 가문의 비극

 

한편, 글로스터 백작의 가정에서도 유사한 비극이 벌어집니다. 그는 사생아인 아들 에드먼드의 거짓말을 믿고, 충직한 장남 에드거를 오해하여 그를 내쫓습니다. 에드거는 미치광이 거지로 변장하여 도망치고, 폭풍우 속에서 광기에 빠진 리어 왕과 만나 동행하게 됩니다.

 

야망에 눈이 먼 에드먼드는 리건과 고너릴과 손을 잡고 프랑스 군과 맞서 싸웁니다. 그는 아버지를 배신하고, 리건의 남편 콘월 공작은 글로스터 백작의 두 눈을 잔혹하게 뽑아버립니다.

 

그러나 결국 에드먼드는 형 에드거와 결투에서 패배하고 치명상을 입습니다. 죽음을 앞둔 그는 자신의 악행을 뉘우치지만, 이미 늦었습니다. 그의 명령으로 코델리아는 교수형에 처해졌고, 리어 왕은 딸의 시신을 안고 절망 속에서 숨을 거둡니다.

 

photo by Mary Evans Picture Library

반응형

몰락한 왕국, 끝없는 허무

 

고너릴은 질투심에 휩싸여 리건을 독살한 후 스스로 목숨을 끊습니다. 고너릴의 남편이자 정의를 회복하려 했던 올버니 공작은 상황이 이미 손쓸 수 없을 정도로 악화되었음을 깨닫습니다. 결국 리어 왕의 죽음으로 비극은 막을 내리고, 왕국에는 허무만이 남습니다.

 

《리어왕》의 의미와 시사점

 

리어왕은 인간의 탐욕과 오판, 가족 간의 갈등과 배신, 그리고 권력의 무상함을 극적으로 보여주는 작품입니다. 셰익스피어는 이 작품을 통해 인간 본성의 어두운 면을 철저히 파헤치면서도, 끝까지 신의를 지키는 인물들을 통해 희망의 가능성을 남겨둡니다.

 

⑴ 인간의 오만과 오판

  • 리어왕은 겉치레에 속아 진실을 외면하는 오만한 왕이었지만, 결국 자신의 오판으로 인해 모든 것을 잃고 광기에 빠집니다.

 

⑵ 가족 간의 배신과 충성

  • 세 딸의 갈등과 글로스터 가문의 비극은 가족 내에서 벌어지는 배신과 충성의 극단적인 대비를 보여줍니다.

 

⑶ 권력과 인간의 유한성

  • 리어왕은 절대적인 권력을 가졌으나, 시간이 흐르면서 무력한 노인으로 전락하고, 결국 모든 것을 잃고 죽음에 이릅니다. 이 작품은 권력의 유한성을 강렬하게 상기시킵니다.

 

 

오늘날까지도 리어왕은 인간관계와 권력의 본질을 탐구하는 강렬한 비극으로 평가받으며, 시대를 초월한 작품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